맨위로가기

빙허각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빙허각 이씨는 조선 시대의 여성으로, 실학자 서유본의 부인이자 《규합총서》의 저자이다. 1759년에 태어나 1824년에 사망했으며, 어려서부터 학문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5세에 서유본과 결혼하여 4남 7녀를 두었으나, 남편의 학문적 활동을 지원하며 평생 학문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했다. 서유본 사후 19개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는 가정생활 백과사전인 《규합총서》와 여성 백과사전 《청규박물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4년 사망 - 래클런 매쿼리
    래클런 매쿼리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를 역임하며 시드니 도시 계획과 식민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원주민 정책 논란과 비지 조사위원회의 비판도 함께 받는 인물이다.
  • 1824년 사망 - 테오도르 제리코
    테오도르 제리코는 프랑스 낭만주의 화가로, '메두사의 뗏목'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말과 군인의 역동적인 묘사, 사회 비판, 인간 고통에 대한 통찰을 통해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759년 출생 -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윌버포스는 복음주의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주도하고 도덕 개혁 운동, 선교 활동, 동물 복지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헌신한 영국의 정치인이자 자선가이다.
  • 1759년 출생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영국의 작가이자 여성주의 철학자이며, 여성의 교육과 권리를 옹호하며 대표 저서인 『여성의 권리 옹호』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조선의 실학자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의 실학자 - 정약용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실학 사상 집대성, 과학 기술 분야 업적, 500여 권의 저술을 통한 사회 개혁 주장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에 선정되었다.
빙허각 이씨
기본 정보
빙허각 이씨 초상
빙허각 이씨 초상
본관전주 이씨 (全州 李氏)
출생1759년
사망1824년
묘소경기도 광주시 실촌면 수청리
혜완(惠婉)
가족 관계
아버지이유주
남편서유대
아들서호수
서냉수
저서
주요 저서규합총서
《청규박물지(靑閨博物志)》
《빙허각전서(憑虛閣全書)》

2. 일생

1759년 2월 24일(음력 1월 27일)에 태어나 15세에 실학자 서유본과 결혼했다. 어린 시동생 서유구를 직접 가르쳤으며, 시가와 친정 모두 학문적 분위기가 강해 저술 활동에 큰 영향을 받았다. 슬하에 4남 7녀를 두었으나, 8명이 요절하고 아들 하나와 딸 둘만 생존했다. 남편 서유본은 43세에 늦게 벼슬에 올랐으나 숙부의 옥사로 곧 물러났다. 이후 가세가 기울자 빙허각은 직접 차밭을 가꾸며 생활했고, 가정백과사전인 《규합총서》를 집필했다. 1824년 3월 3일(음력 2월 3일) 66세로 사망했는데, 남편 사망 후 〈절명사〉를 짓고 19개월 만에 뒤를 따랐다.[22]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1759년 2월 24일(음력 1월 27일) 아버지 이창수와 어머니 진주 류씨 부인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났다. 빙허각의 친가는 조선 세종의 서자 영해군의 가문으로 대대로 명망높은 소론 가문이었으며, 외가 역시 실학 및 고증학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집안이었다. 외숙모이자 《태교신기》를 지은 사주당 이씨와 그의 아들로 《언문지》의 저자인 류희 등이 유명하다. 이병정은 그녀의 오빠이다.[4][5]

빙허각은 어려서부터 총명했다고 전해진다. 아버지가 무릎에 앉혀놓고 시경(詩經)이나 소학(小學)을 읽어주면, 곧바로 그 의미를 깨달았다.[6] 커서는 기억력이 좋았고, 학문을 좋아하여 다양한 책들을 읽었다. 또한 시와 여러 종류의 글을 잘 썼으며, 주변 사람들로부터 여성 학자로 불리기도 했다.[6]

15살에 실학자인 행정 서유본(1762년 3월 1일(음력 2월 6일)~1822년 8월 26일(음력 7월 10일)[19])과 결혼하였으며, 어린 시동생 서유구를 직접 가르쳤다고 한다. 시가 역시 다수의 실학자를 배출한 집안으로 많은 장서를 가지고 있어 훗날 빙허각의 저술 활동에 큰 도움이 되었다. 슬하에 4남 7녀를 두었으나 그 중에서 8명이 일찍 죽고 아들 서민보 하나와 딸 둘만이 살아남았다.[20]

그녀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이창수 (李昌洙|이창수중국어)이조판서, 예문관 제학, 홍문관 제학 역임
어머니晉州 柳氏|진주 류씨중국어
외삼촌柳漢奎|류한규중국어
이모사주당 이씨 (師朱堂|사주당중국어 全州 李氏|전주 이씨중국어)태교신기》 저술
사촌류희 (柳僖|류희중국어; 1773–1837)언문지》 저술
형제이병정 (李秉鼎|이병정중국어; 1742–1804)
남편서유본 (徐有本|서유본중국어; 1762년 1월 6일 – 1822년 8월 26일)
시아버지서호수 (徐浩修|서호수중국어; 1736년 10월 29일 – 1799년 2월 14일)
시어머니貞夫人|정부인중국어 韓山 李氏|한산 이씨중국어 (1736년 11월 7일 – 1813년 11월 13일)李爾章|이이장중국어의 딸
시동생서유구 (徐有榘|서유구중국어; 1764–1845)
아들徐民輔|서민보중국어 (1783년 10월 30일–?)
大丘 徐氏|대구 서씨중국어 (1785–?)
사위尹致大|윤치대중국어
大丘 徐氏|대구 서씨중국어 (1787–?)


2. 2. 결혼 생활

빙허각 이씨는 15살에 실학자인 서유본(徐有本, 1762년~1822년)과 결혼하였다.[19] 빙허각의 친정은 조선 세종의 서자 영해군 가문으로, 대대로 명망 높은 소론 집안이었다. 시댁 역시 많은 실학자를 배출한 명문가로, 많은 장서를 보유하고 있어 빙허각의 저술 활동에 큰 도움이 되었다.[20]

빙허각과 서유본은 슬하에 4남 7녀를 두었으나, 그 중 8명이 일찍 세상을 떠나고 아들 하나와 딸 둘만이 살아남았다.[20] 남편 서유본은 빙허각의 학문적 재능을 존중하며 평생 학문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였다.[21]

서유본은 43세라는 늦은 나이에 벼슬에 올랐으나, 숙부 서형수의 옥사로 인해 벼슬에서 물러나야 했다.[21] 갑작스럽게 가세가 기울자, 빙허각은 직접 차밭을 가꾸며 생활하고, 생활 지식과 실학서 내용을 종합한 가정백과사전인 《규합총서》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이 책의 제목은 남편 서유본이 직접 지었다.[21]

두 집안은 오랜 교분과 소론이라는 같은 정치적 성향 때문에 혼인했다. 서유본은 달성군 출신으로, 선조의 사위인 서경주의 후손이었다.[7] 그의 아버지는 서호수이고, 동생은 임원경제지의 저자인 서유구이다.[8]

서씨 가문은 일상생활에 유익하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학문에 관심을 가졌으며,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와 교류했다.[9] 특히 농업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냈는데, 서유본의 할아버지 서명응은 "고사신서"(1771)를, 서호수는 해동농서(1799)를 저술했다. 서유본의 동생 서유구 역시 임원경제지를 출간했다.[10]

빙허각은 결혼 후 시댁의 학문적 전통에 영향을 받았다. 시아버지 서호수는 중국에서도 보기 드문 희귀본을 소장하고 있었고, 남편 서유본 역시 그러했다. 이규경은 서유본에게서 "명본석"이라는 귀중한 책을 빌려 보았다고 한다. 빙허각의 저서 '청규박물기'는 동물과 식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규합총서'에 인용된 책이 시아버지의 '해동농서'라는 점도 이러한 배경을 보여준다.[5]

남편 서유본은 과거나 관직과는 인연이 없었다. 22세에 생원시에 합격했지만 문과에 계속 낙방했고, 1806년에는 숙부 서형수가 살인 및 대역죄에 연루되어 유배를 가면서 가세가 무너졌다.[6] 당시 홍문관 부제학이었던 동생 서유구 또한 향리에 갇혔고, 이때 빙허각의 나이는 47세였다.[12]

빙허각은 남편의 가세가 기울면서 마포구로 거처를 옮겼다. 매제 서유구 역시 옥사에 연루되어[12] 1823년까지 관직에 나아갈 수 없었고 여섯 번이나 거처를 옮겨야 했으므로, 형의 집을 도울 여유가 없었다. 1809년 빙허각이 쉰 살에 완성한 '규합총서'는 이러한 삶과 무관하지 않다.[4]

서유본은 집 밖으로 나가지 않고 독서에 집중하며 빙허각과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학문을 논하고 시를 주고받았다.[13] 빙허각은 '규합총서' 서문에서 "남편과 함께 삼호(현재 마포)에서 정을 나누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글을 찾아 산속에 묻혀 있는 집안일을 했다"고 회상했다. 서유본의 이러한 삶은 빙허각이 학문을 확장하는 데 든든한 지원이 되었다.[14]

2. 3. 사망

1824년 3월 3일(음력 2월 3일) 66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보다 2년 먼저 죽은 남편을 위해 〈절명사(絶命詞)[22]를 짓고 모든 인사를 끊은 다음, 머리를 빗지 않고, 얼굴을 씻지 않고 자리에 누워 지낸 지 19개월 만에 남편의 뒤를 따랐다.

3. 저서

빙허각 이씨의 저서로는 《규합총서》, 《청규박물지》가 있다.[1][2]

3. 1. 《[[규합총서]](閨閤叢書)》 (1809년)

이 책은 언제, 누가 썼는지 알 수 없이 필사본이나 목판본으로 전해져 내려오다가, 1939년에 발견된 '''빙허각전서'''(『규합총서』, 『청규박물기』, 『빙허각고』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책)의 첫 번째 부분임이 밝혀졌다. 현재 목판본 1종, 두 권이 한 책으로 묶인 필사본 등 총 68권의 국립도서관 소장본과 정양완의 필사본 6종이 전해지고 있다.[11][17]

규합총서는 저자가 서문에서 "모든 일의 처방이자 가정의 다스림이 되므로 실로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책"이라고 밝힌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 유용한 지혜를 모아놓은 책이다.[6][15]규합총서』의 내용은 ''주사의''(酒食議), ''봉임칙''(縫紝則), ''산가락''(山家樂), ''청낭결''(靑囊訣), ''술수략''(術數略)으로 나뉜다.[3][16]

  • '주사의'에는 장 담그기, 술 빚기, 떡, 과일즙, 반찬 만들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봉임칙'에는 옷 만드는 법, 염색법, 자수, 누에치기, 그릇 수리, 등 켜는 법 등 온갖 잡다한 물건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 '산가락'에는 밭을 가는 법부터 말, 소, 닭을 키우는 법까지 농촌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이 실려 있다.
  • '청낭결'에는 태교와 아기 기르기에 대한 요령, 응급처치 및 금지된 비상 약물 등이 담겨 있다.
  • '술수략'에는 집을 청소하는 법, 부적과 주술로 악귀를 쫓는 법 등이 묘사되어 있다.[17]


규합총서는 내용을 상세하고 명확하게 서술했을 뿐만 아니라, 각 사항에 인용한 책의 이름을 작은 글씨로 적어두었다. 또한 그녀의 의견을 덧붙여 '''신증'''이라 칭했으며, 각 항목의 마지막 부분에는 그녀가 직접 실행해 본 결과를 작은 글씨로 밝혔다. 그래서 사람들이 읽고 실천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책은 필사본으로 전해지는 종류의 요리책 중 가장 많이 읽혔으며, 우리 가정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4]

3. 2. 《청규박물지(淸閨博物志)》

淸閨博物志중국어는 조선 영조 시대의 실학자 서유본의 부인인 이빙허각이 지은 여성 백과사전이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2][3]

1939년 빙허각전서가 발견되었을 때 규합총서와 함께 발견되었지만, 유실되어 그 이름만 전해졌다. 그러던 중 2004년 초, 서울대학교 권두환 교수팀이 일본 도쿄 대학의 오오쿠라 서점에서 4권 전부를 찾아내면서 베일에 싸여 있던 책의 내용이 알려지게 되었다.[18]

제1권에는 천문과 지리가, 제2권에는 시간과 초목에 대한 내용, 제3권에는 짐승과 곤충, 물고기에 대한 내용, 제4권에는 의복과 음식에 관련된 내용이 담겨 있다. 이 외에도 해와 달, 바다, 조수, 술, 서예 등 다양한 자료가 한글로 기록되어 있다.[3]

4. 전기 자료

빙허각 이씨의 전기 자료에 대한 내용은 서유구가 저술한 《금화지비집》 권7의 수씨 단인 이씨 묘지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관련 작품


  • 곽미경 지음, 《허공에 기대선 여자 빙허각》, 자연경실, 2019년 1월 7일

참조

[1] 웹사이트 규합총서(閨閤叢書) - 빙허각 이씨(憑虛閣 李氏)) https://artsandcultu[...] 2023-06-09
[2] 웹사이트 빙허각(憑虛閣) 리씨(李氏)의 『청규박물지(淸閨博物志)』 저술과 새로운 여성지식인의 탄생 https://kiss.kstudy.[...] 2023-06-19
[3] 웹사이트 빙허각전서(憑虛閣全書) https://encykorea.ak[...] 2023-06-16
[4] 웹사이트 "[실학, 조선의 재건을 꿈꾸다] 빙허각이씨의 규합총서" https://www.kyeonggi[...] 2023-06-16
[5] 웹사이트 "[한국여성인물사전] 137. 이빙허각(李憑虛閣)" https://www.etoday.c[...] 2023-06-16
[6] 웹사이트 "[경기천년 999+1, 경기도의 思想과 思想家] 37. 여성 실학자 이빙허각, 19세기 생활경제서 '규합총서'를 펴내다" https://www.kyeonggi[...] 2023-06-16
[7] 웹사이트 서유본(徐有本) https://encykorea.ak[...] 2023-06-09
[8] 웹사이트 서유구(徐有榘) https://encykorea.ak[...] 2023-06-09
[9] 웹사이트 "[아! 조선, 실학을 독하다] 8.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 1764~1845 (1)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흙 국(土羹)과 종이 떡(紙餠)인 학문은 안 한다" http://www.incheonil[...] 2023-06-16
[10] 웹사이트 "[경기도를 빛낸 역사인물] 서유구(1764~1845)" https://www.kyeonggi[...] 2023-06-16
[11] 웹사이트 "[역사칼럼] 조선의 걸크러쉬, '이빙허각'" http://www.seniorsin[...] 2023-06-16
[12] 웹사이트 "[경기천년 999+1, 경기도의 思想과 思想家] 34. 풍석 서유구, 스스로 유배돼 백과전서를 편찬하다" https://www.kyeonggi[...] 2023-06-16
[13] 웹사이트 "[K우먼 톡]조선의 여성 실학자 빙허각 이씨" https://www.asiae.co[...] 2023-06-16
[14] 웹사이트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조선 후기 여성 실학자 빙허각 이씨 묘지명 http://www.kookje.co[...] 2023-06-09
[15] 웹사이트 "우리 전통음식과 생활을 기록하다 빙허각 이씨 부인이 지은 책 『규합총서』, 한박튜브 - 국립한글박물관 한박웃음 2022년 01월 제101호" https://www.hangeul.[...] 2023-06-16
[16] 웹사이트 살림을 체계화한 실학자, 이빙허각 https://www.hani.co.[...] 2023-06-16
[17] 웹사이트 규합총서(閨閤叢書) https://encykorea.ak[...] 2023-06-19
[18] 웹사이트 조선 여성백과사전 '청규박물誌' 다시 찾아 https://www.chosun.c[...] 2023-06-19
[19] 서적 금화지비집
[20] 서적 금화지비집
[21] 서적 좌소산인집
[22] 서적 금화지비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